알뜰폰 하는법, 개통하는 방법

     
     
    대한민국에서는 통신 3사(SKT, KT, LGT)를 비롯해 수많은 알뜰폰 업체가 있습니다.
    통신 3사에서 아무리 결합할인이니, 카드할인이니, 멤버십 혜택이니 뭐니 각종 할인과 혜택을 영끌로 다 챙긴다 하더라도, 유지비 측면에서 알뜰폰 요금이 넘사벽으로 저렴합니다.
     
    월 유지비를 줄여야하거나, 내가 조금만 신경쓴다면 통신요금 절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해야하는게 알뜰폰입니다.
     (단, 예외가 있다면 회사에서 통신 요금을 지원해주는 경우 정도랄까..?
    통신요금 지원해주는 회사에 다니고 있다면, 풀공시 때려서 폰 바꾸고 요금 지원받는게 좋습니다.)
     
    이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자급제로 폰 구매하고 알뜰폰 요금으로 사용하세요. 제발요!
     


    알뜰폰 개통 과정

     

     
    위 그림처럼, 알뜰폰은 딱 3가지 순서대로 진행이 됩니다.
    1. 원하는 요금제 선택후 가입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쓰던 번호 그대로 "번호이동"으로 하시면 됩니다.)
     
    2. 신청서를 작성하고, 유심을 기다립니다.
    -> 유심은 미리 편의점에서 구매하셔도 되고, 무료로 지원해주는 통신사에서 무료로도 받을 수 있어요. ESIM으로 유심 다운로드 형태로도 진행 가능하구요.
     
    3. 유심 오면, 개통처리 하고 폰 끊기면, 전원끄고 유심 삽입하고 전원 키면 개통 완료됩니다.

     

     

     

    알뜰폰 요금의 장단점

    하지만 알뜰폰이라고 해서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단점보단 장점이 훨씬 크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래 단점이 본인에게 치명적이지 않다면, 무조건 하는게 좋습니다.

     

    장점

    1. 메이저 통신 3사(SK, KT, LG)와는 비교할 수 없이 저렴한 요금

    > 이건 직접 써보시면 더 체감이 클거에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같은 경우도 저렴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단점

    1. 멤버쉽 카드 혜택이 따로 없음 (이 부분은 알뜰폰 요금제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커버 가능)

    2. 보통 7개월 마다 통신사와 요금제를 바꿔야함.

     

    제가 생각하는 알뜰폰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7개월 마다 통신사와 요금제를 바꿔줘야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내가 정말 세상만사 다 귀찮다하는 분들에게는 치명적인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만, 제가 가장 위에 언급했듯이 알뜰폰 요금을 바꾸는 방법은 3가지 단계로 정말 정말 간단합니다.. 신청하고 개통하고 유심 꽂으면 끝이에요. 이걸 7개월 마다 해주면 상당히 저렴하게 요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 유지비로 따지면 그 차이는 더 커집니다.

     
     
     
    그럼 이제, 알뜰폰 원하는 요금제는 어디서 봐야보고 어떻게 가입해야되지? 저는 보통 2가지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알뜰폰 가입 방법


    1. 플랫폼 이용하기 -> 모두의 요금제 (모요)

    모두의 요금제 화면

     

     

    모두의 요금제(모요)라는 플랫폼을 통한 가입 입니다.

    플랫폼을 통한 가입은 쉽고 간결하게 여러가지 통신사의 알뜰폰 업체를 한눈에 볼 수 있다는게 장점이구요.

    모요를 통해서 개통했을 경우, 여러가지 혜택도 있다는 점입니다.

     

    또 저는 편했던 점이, 보통 알뜰폰의 할인 요금 기준은 7개월인데, 7개월 되는 예상 날짜를 마이페이지에서 쉽게 볼 수 있다는 점이었어요. 다른 방법으로 가입했다면 따로 캘린더에 기재하면서 관리해줘야합니다.

     

    모요 같은 경우는 아래 링크를 통해 편하게 가입하고 개통해보세요.

     

    가입 하러 가기

     

    알뜰폰 요금제 | 모요, 모두의요금제

    월간 TOP20, 데이터 무제한, 통화 무제한 등 알뜰폰 요금제를 모요에서 가장 쉽고 빠르게 비교하고 찾아보세요

    www.moyoplan.com

     

     

     

     

    2. 구글링 하기

    이 방법은 1번 모요 같은 플랫폼을 통해 가입하는 방법이 아닌, 구글링을 해서 내가 직접 그 알뜰폰 통신사에 들어가 가입하는 방법입니다. 모요에 마음에 드는 요금제가 없다거나, 좀 더 다양한 요금제를 확인하고 싶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구글에 해당 연도/월 알뜰폰 요금제라고 검색

     

     

    제가 지금 포스팅을 하고 있는 시점이 2025년 2월이라서 해당 되는 연도와 날짜를 기준으로 "2025년 2월 알뜰폰 요금제" 라고 검색해줄게요.

     

    구글에 2025년 2월 알뜰폰이라고 검색한 결과값

     

     

    그러면 위에 이미지 처럼, 해당 연월에 알뜰폰 요금제를 정리해준 블로그들이 여러개 나옵니다. 여기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통신사에 접속해서 요금제를 선택 및 신청하면 되겠습니다. 가입과정과 방법은 추후에 제가 직접 개통할때 자세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어떤 요금제가 쓰기 좋을까?

    요금제 같은 경우는 정말 다양하게 여러가지 종류의 요금제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사용량이 다르고, 통화랑/문자량/데이터 모두 쓰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쓰는게 가장 좋겠지만, 제가 여러가지 다 써본 결과 가장 무난하고 괜찮았던 요금제는

     

    통화 무제한 / 문자 무제한 / 기본 데이터 11GB + 매일 2GB

     

    저는 이 요금제를 가장 좋아합니다.

    기본적으로 통화/문자 무제한이고,  데이터의 경우 매달 11기가 데이터를 주고, 이걸 다 썼을 경우 데이터를 매일 2기가씩 줍니다. (일단 저는 이정도도 충분한데,)

    2기가를 다 쓸 경우에도 데이터를 3메가 속도로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3메가 속도면 유튜브 720p 영상 정도 무난하게 볼 수 있는 속도이긴 한데, 어플에 따라 구동속도가 좀 느려져서 살짝 답답한 감이 있습니다. 막 못쓸 정도는 아니에요. 근데 매일 2기가씩 주는게 저는 충분하더라구요.

     

    가격도 19,000원 이하입니다. (알뜰폰 특성상 가격은 매달 달라짐)

    저는 14,000원대에 가입한 적도 있고, 18,000원대에 가입한적도 있고 그래요.

     

    알뜰폰 통신사의 경우는 막 어디가 좋다, 어디가 구리다 그런거 딱히 중요하진 않습니다.

    그냥 유심이 무료인지, 다른 혜택이 더 있는지 정도만 확인해서 최대한 이득되는 걸로 탑승하시면 됩니다.

    예전에 저 요금제에 CU 20% 할인 혜택이 있는걸로 가입했는데, 매달 최대 5,000원 한도로 CU 20%할인을 받을 수 있는 요금제여서 괜찮더라구요. :)

     

     

     

    결론

    알뜰폰은 유지비 측면에서 정말 넘사벽입니다. 데이터 무제한을 통신 3사에서 이용할 경우 보통은 요금제 6만원대입니다. 통신 3사에서 멤버쉽 혜택 + 결합할인 + 카드할인 등 어떤 할인을 다 영끌해도 알뜰폰이 더 저렴합니다.

     

    보통 메이저 3사 할인 약정을 2년으로 잡으니까, 2년 기준으로 유지비 계산 해보면 답 나와요.

     

    이제는 좀 더 저렴하게 이용하시고 부자되세요~!

     

    댓글